음악치료란?
음악치료의 목적은 음악의 직접적인 경험 혹은 음악 경험과 활동안에서 이루어지는 치료사와의 의사소통, 역동적 관계를 통해 내담자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균형을 이루도록 도우며 내재된 개인의 가능성을 개발하고 극대화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
음악치료의 목표
자존감 / 자긍심향상, 참여행동 증가, 적응행동 향상, 근육운동 향상, 인지력 향상, 언어발달 증진, 사회성 증진, 독립심 / 자기지향성 향상, 창조성 / 상상력 자극, 부적응행동 감소 등으로 목표를 정할 수 있습니다.
-
음악치료의 대상
자폐증, 다운증후군, 뇌성마비 등 발달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인, 즉 불안장애나 우울증, 학습장애 그리고 알콜중독, 노인치매 등 다양한 층에 음악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음악치료의 과정
음악치료는 진단평가 단계, 치료 단계, 사후평가 단계를 거칩니다. 진단평가에서 치료사는 내담자를 관찰하기 위해서 위에서 설명한 음악적 경험의 일부 혹은 모두를 사용합니다. 이상적으로 진단평가는 치료사가 적합한 목표와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환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치료사는 치료중에 내담자의 내면과 건강상태에 특정한 변화를 유발하기 위하여 개입의 의미로 음악을 사용합니다. 여기엔 가장 적합한 방법과 기술의 선택, 음악적 경험을 구상, 음악을 준비, 세션을 계획, 치료적 환경을 만들고, 실제로 세션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사후평가에서 치료사는 치료를 받은 후 내담자가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측정합니다. 내담자가 치료중 만든 변화를 식별해 내거나 혹은 내담자의 기능 관계 또는 정도에 대하여 치료의 초기와 치료후 현재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